스트라티스(STRAX) 시세와 전망은??


◎ 스트라티스(STRAX)코인 은 어떤 코인인가?

시가총액 : 463.4 억원
최초발행일 : 2016년 8월
시장유통량 : 100,047,515 개

PoS방식인 관계로 현재 시장 유통량으로 대신 합니다.

스트라티스(STRAX)코인 는 스트라티스(STRAX)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스트라티스(STRAX) 플랫폼은 블록체인 개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하고, 간단히 BAAS (blockchain-as-a-service) 플랫폼이라고 불립니다. 이 플랫폼은 기업이나 기관들이 스트라티스 공개체인(public chain) 위에 비공개체인(private chain)을 올려두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 개별적인 체인은 사이드체인(side chain)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더리움 플랫폼과 비슷하지만, 스트라티스(STRAX) 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에 기초해 만들어져서 기본적인 구조가 다르고, 스마트 컨트랙트의 방향성과 사용하는 컴퓨터 언어에서도 차별점이 있습니다. 스트라티스(STRAX) 플랫폼은 블록체인이 다양한 산업에 적용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블록체인 앱 개발 프로세스를 크게 간소화해서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개발 주기를 가속화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스트라티스(STRAX)코인 은 2016년 8월부터 런칭을 한 비트코인 기반으로 만들어진 암호화폐 입니다. 스트라티스(STRAX)코인 은 처음 출시되었을 당시에만 해도, 굉장히 획기적이고, 이더리움을 견줄 것으로 기대되는 암호화폐였습니다. 나아가는 방향성도, 이더리움처럼 암호화폐들의 기반보다는 실제 사회에 작동되는 플랫폼으로 기능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개발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C# 언어로 개발되어서, 윈도우나 관련 언어 개발자들을 품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접근성을 높였고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Microsoft Azure) 와도 협업을 하고 있습니다. 개발자들을 위한 아카데미를 열기도 하고, 암호화폐로서 기능하는 지갑도 만들어 기술적으론 계속 구현하고 있지만, 로드맵 상에서 연기를 비롯해 테스트만 간신히 성공시키거나, 일정을 연기하는 등의 문제가 조금씩 있어왔습니다.


스트라티스(STRAX) 는 타사에서 시작한 별개의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조직 및 단체의 필요한 요구조건에 맞게 조정되었지만 주요 스트라티스(STRAX) 블록체인에서 보안을 유지하며, 라이트 클라이언트와 강력한 API를 통해 액세스 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이 비공개 체인은 기본 스트라티스(STRAX) 체인의 코드를 기반으로 하며 사이드체인은 호환이 가능합니다. 비즈니스가 큰 블록의 크기를 필요로 하는 대량의 업무일 경우 통제된 거래만 승인되도록 시스템을 맞춰 놓음으로써 적은 대기시간 거래를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스트라티스(STRAX)코인 은 개발자가 새로운 언어를 배우지 않고 새로운 체인을 만들 필요 없이 C#을 통해 기업에서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스트라티스(STRAX) 퍼블릭 체인 위에 개별적인 프라이빗 체인(사이드체인)을 올려 두고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며 이처럼 스트라티스는 자체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자 하는 기업에 사이드체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안과 마이닝 측면에서는 마스터노드에 의해 보호된다. 또한 사이드체인은 사용자들에게 보상으로 암호화폐를 제공하는 Fitalize 플랫폼을 포함하고, 가상화폐 지급을 통한 바이럴 마케팅의 일환인 The Viral Exchange(TVE) 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스트라티스(STRAX)코인 의 비트코인 풀 노드는 필수적인 5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비트코인 코어는 동일 소스로 모든 계층을 다루고 있으나, 스트라티스는 아래 3개 계층만을 다루고, 합의계층/네트워크 계층은 다루지 않습니다. 1) 노드 정책 계층 – 디도스 공격(DDoS attack)을 방지하기 위해 합의 계층보다 더욱 제한적인 규칙 추가 2) 인프라 계층 – 블록과 거래들을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입증할 것인지에 대한 관리 3) 인터페이스 계층 – 개발자들이 노드 상태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문의하기 위한 API 브리즈 월렛은 스트라티스(STRAX)코인 과 비트코인을 지원하는 월렛으로 텀블빗을 통해 익명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텀블빗은 마스터노드에게 거래를 위임하여 다수의 전송을 받아 묶어서 처리하기 때문에, 지갑에 들어있는 자금이 최초에 어느 지갑에서 나왔는지 추적을 할 수 없게 됩니다. 마스터 노드는 스트라티스 토큰을 25만개 이상, 비트코인5개 이상 보유하여야 하며, 매년 보유 코인의 1% 수익과 위에서 발생한 처리 트랙잰션에 대한 수수료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마스터노드를 통해 스트라티스(STRAX)코인 에서 비트코인으로 환전도 가능합니다. 추후 10만개, 1만개와 같은 작은 노드를 제공하여 작은 노드를 보유한 고객에게도 홀딩할 메리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이들은 마스트노드가 아닌 다른 역할을 가지게 됩니다.
Nbitcoin은 마이크로소프트 닷넷 프레임워크( Microsoft.NET Framework)를 활용하여 순수 C# 언어로 개발되었고, 이전의 C++로 개발된 비트코인 코어 소스코드에 비해 개발 및 유지 보수에 방법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기업/기관의 필요에 따라 개발자가 private chains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체적인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메인 스트라티스 체인과의 상호 호환 및 전송이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습니다.


현재 스트라티스(STRAX) 는 Azure, Binance, Micrfosoft, Ledger, Changelly 등의 전세계에서 내노라 하는 큰 기업들과 파트너쉽의 관계에 있으며, 아무래도 개발시에 사용된 C# 으로 인하여 Micrfosoft와의 파트너쉽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스트라티스(STRAX) 의 목표는 개발자들이 블록체인 개발에 대한 접근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새로운 언어가 아닌 개발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C# 언어를 이용하였고, 또한 이 플랫폼이 제공하는 독자적인 블록체인은 비트코인의 안정성과 보안성도 가지고 있습니다. 스트라티스(STRAX)코인 은 현재 비트코인 대체 실행이 가능한 유일한 교차 플랫폼이며, Nstratis Full Node의 비트코인 버전을 계속 유지 보수하며 개발해 나가고 있습니다. 스트라티스(STRAX) 블록체인은 불변의 레코드 저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의학연구에 쓰이거나, 프라이버시와 기밀성을 요하는 금융 기술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즈니스 및 기업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Ledger, Microsoft Azure 및 Changelly와 같은 주요 블록체인 파트너와 파트너 관계를 유지해오며 계속 개발 되고 발전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 입니다. 그렇지만 중요한 것은 블록체인 기술이 상용화되어 일상생활에 얼마나 쓰여질 수 있는지의 여부인데, 스트라티스가 현 암호화폐 시장에서 블록체인 서비스화(BaaS)에 앞장설 수 있을지 주목을 받고 있는 시점입니다.

 

 


◎ 스트라티스(STRAX)코인 의 시세분석 과 전망


스트라티스(STRAX)코인 의 금일자 일봉차트 입니다.
전일 시장으로부터 좋은 수급을 보여주었느습니다.
이렇게 약간의 과매수성 시장의 수급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시세분석 을 할수 있습니다.
조금더 자세하게 시세분석 을 진행 해보면,
10월말에 작은폭으로 계단식 상승을 이어가다가 거래량을 올리며 긴꼬리를 만들고 양봉마감을 보여줬습니다.
그런후, 하락을 지속적으로 보여주면서 매집을 이어간 것으로 시세분석 을 해볼 수 있습니다.
하락이 종료되고 신저점을 만들어주었으며 그 후로 상승 모멘텀을 만들면서 흔들기까지하는 움직임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스트라티스(STRAX)코인 의 전망 은 낙관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것으로 보고있습니다.
일단 전일 거래량을 좋은 수준까지 보여주면서 캔들의 움직임도 위아래 꼬리가 짧게 만들어지면서
또 한번의 상승 트랜드를 기대해 볼 수 있게 움직임을 주었기 때문 입니다. 앞으로의 전망 상 스트라티스(STRAX)코인 의 전망 은 낙관적이라고 말씀 드렸지만 아직까지 비트코인의 움직임이 규칙성있는 박스권무빙이 나오기 전이라서 투자하시는 여러분들의 보수적인 객관적인 시장에대한 시세분석 을 토대로 전망 을 분석하셔야 할것으로 보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