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이튼 코인 현황을 알아보자!!

 


클레이튼 이란?

클레이튼은 암호화폐 클레이 (KLAY) 코인의 공식 프로젝트 이름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자회사 그라운드X (한재선 대표)에서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이며, Klaytn기반의 토큰 (KCT) 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카카오와 연계하여 친숙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강점입니다.

 

 

 


클레이튼은 지분증명 방식의 POS 기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으며 자체 메인넷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디파이 채굴들이 유행 중 인데, 이더리움의 경우 가스비가 증가하여 트랜잭션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면, 클레이튼은 탈중앙화를 다소 희생하였지만, 상대적으로 빠른 전송 속도와 저렴한 수수료가 장점입니다. 1초에 3000~4000여개의 거래 내역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더리움 또한 2.0개발과 POS 전환을 준비중에 있기에 플랫폼 코인들의 경쟁도 점점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현재 클레이튼 거버넌스 카운슬에는 국내외 내노라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 중입니다. LG전자, 넷마블, 배틀그라운드의 펍지, 카카오, 안랩, 유니온뱅크 등에 최근에는 바이낸스 거래소 또한 Klaytn 거버넌스 카운슬에 합류하였습니다. 이외 액셀러레이터 기업 해시드 등도 초기 투자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클레이튼 에코시스템은 크게 파이낸스, 헬스케어, 테크, 페이먼트, 콘텐츠, 엔터테이먼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가보시면 에코시스템 파트너 명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지갑 클립 Klip 출시

이더리움에 MEW와 메타마스크 등의 고유 지갑이 있는 것처럼, 클레이튼 또한 지갑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우선 지난 6월 디지털자산 지갑인 클립이 출시 되었습니다. 국내 이용자 4천만명을 보유한 메신저 카카오톡에 탑재되는 블록체인 지갑이라는 점에서 향후 암호화폐의 저변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심이 쏠리고 있죠. 클립 (Klip) 은 이처럼 카카오톡에 탑재가 되어 실용성과 확장성에 큰 장점이 있는 지갑입니다.

아래 사진처럼 카카오톡 - 더보기 - 전체서비스- 클립 메뉴에서 내 클립 지갑을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웹지갑 카이카스 (Kaikas) 도 출시가 되었습니다. 카이카스는 구글 크롬, 파이어폭스 등 웹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한 웹 지갑으로서 Bapp들의 트랜젝션 처리 가 가 능합니다.
이더리움의 메타마스크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클레이튼 상장 이슈

클레이튼의 KLAY 코인은 최근 다수의 거래소에 상장이 되었는데, 일부는 재단측과 협의 없이 상장이 되어 논란이 있기도 했었죠. 코인원을 비롯하여, MXC, 지닥, 데이빗 등이 사전 협의가 없이 진행이 되었었습니다. 클레이튼 암호화폐 지갑 클립 (Klip)이 출시되면서 클레이의 인지도가 오르자, 무임승차하려는 거래소들의 시도가 잇따르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일부에서 제기가 되었었죠.

그러나 암호화폐 상장 여부는 거래소의 고유 권한이라는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습니다. 누구나 자유롭게 공유가 가능한 퍼블릭 블록체인 특성상 거래소가 상장을 위해 프로젝트 측의 허락을 구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들 입니다.



어쨋든 Klaytn 측은 업비트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리퀴드 글로벌, 게이트아이오등의 해외 거래소만 공식적으로 인정을 하고 있고, 국내 거래소 상장은 추진을 하지 않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리고 최근 다양한 디앱들이 클레이튼 생태계로 진입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 이더리움과 이오스의 디앱에 비해서는 갈길이 먼 것은 맞습니다만 최근 들어 점점 KCT 기반의 토큰이 늘어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네요. 클레이스테이션, 썸씽, 클라우드블릭, 위믹스, 나이트스토리, 파이브스타 피블, 힌트체인 등 등다양한 디앱들이 Klaytn 생태계에 합류를 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클레이튼 생태계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출시된 카이카스 이용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Recent posts